05 4월 재산상속? 다 쓰고 갈래. 달라진 노인들
[vc_row el_class="text"][vc_column][vc_column_text css=""] “더러워서 내 돈 내가 다 쓰고 간다.” 더 이상 의지하지 않으려는 세대, 중장년층도 가치관 변화 - “더 이상 의지 안 한다?” 바뀌는 시대정신 - 베이비붐 세대까지 새롭게 진입하는 노년층 - 증가하는 연령층 건강하게 살려면 어떻게? ■ 늘어나는 기대수명과 노년층 지금의 노년층은 한글을 쓰지도 못하는 사람들이 있던 이전 세대와는 달리 교육수준도 늘어나 석박사들까지도 진입하는 시기가 왔다. 이러한 연령대는 기존에 부모와 가족을 봉양하고 자식을 위해 희생하던 시기를 가지고 있는 세대이다. 그러나 현재 20~40대는 그러한 개념과는 거리가 먼 세대로 자라났다.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따라 자녀에게 재산을 상속하지 않고 배우자를 위해 사용하겠다는 중장노년층이 크게 증가해 5명중 2명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해당 조사는 지난 16일 보건복지부에서 노인의 가족, 사회관계, 경제 상태, 건강 및 생활 상황을 분석한 ‘2023년 중장년 및 노인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2008년부터 3년 주기로 실시하고 있으며 지난해에는 9월 4일부터 12일까지 65세 이상 1만78명(남성 43.9%, 여성 56.1%) 대상 방문·면접 방식으로 진행됐다. 이번 조사에선 중장노년층의 가치관 변화가 특히 두드러졌다. 재산 상속 방식에 관한 질문에 ‘자신과 배우자를 위해 사용하겠다’는 답변이 ‘재산을 모든 자녀에게 골고루 나눠주겠다’(51.4%)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24.2%를 차지했다. 2014년 15.1%, 2017년 17.3%, 2020년 17.4%로 10년간 응답률 상승 그래프가 완만했던 것과 비교하면 단기간에 변화 폭이 크고 이번 조사를 통해 확인된 계층의 소비력과 역량 및 해당 계층의 인구증가로 인해 가치관이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계층은 학력뿐만 아니라 IT활용 능력까지 가진 계층으로 은퇴후에도 일을 하고자 하는 경향이 짙고 의료 및 사회서비스 증가로 인해 건강한 삶을 오래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노화로 인해 각종 심혈관질환, 암, 치매, 당뇨 등 여전히 피해 갈 수 없는 질병 또한 공존해야 하는 것이 현실이다. 하여 가장 흔하지만 죽기전까지 관리 해야 하는 “당뇨”를 피해 갈 순 없을 것이다. ■ 노년에 피해가기...